C++ 자료형에 대한 정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기 전 변수가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보자
변수(Variable)란?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란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수가 차지하는 데이터는 RAM에 할당이 되며, 단위는 byte이다.
선언되는 변수의 자료형마다 할당되는 크기는 제각각이며 이는 아래 자료형의 종류를 정리하며 보다 자세히 서술하겠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type(자료형) callName(변수명); 의 순서로 작성한다.
변수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알아보았으며 이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C++ 에서 특정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선언하려는 변수에 무슨 데이터를 담을지에 따라 자료형을 미리 지정해 선언을 해야만 데이터가 제대로 변수에 저장된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면 밥을 담을때는 밥그릇을, 물을 담을때는 물컵을, 국을 담을때는 국그릇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된다. 밥그릇에 담을 밥은 데이터이고 밥그릇은 변수가 되는 것이다.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 범위는 아래 표로 정리해두었다. (아래 표는 32비트 개발환경을 기준으로 한다)
자료형 종류 표
기본형 | void | – | – |
문자형 | (signed) char | 1 byte | -128 ~ 127 |
unsigned char | 1 byte | 0 ~ 255 | |
wchar_t | 2 byte | 0 ~ 65,535 | |
정수형 | bool | 1 byte | 0 ~ 1 |
(signed) short (int) | 2 byte | -32,768 ~ 32,767 | |
unsigned short (int) | 4 byte | 0 ~ 65,535 | |
(signed) int | 4 byte | -2,147,483,648 ~ 2,147,483,647 | |
unsigned int | 4 byte | 0 ~ 4,294,967,295 | |
(signed) long (int) | 4 byte | -2,147,483,648 ~ 2,147,483,647 | |
unsigned long (int) | 4 byte | 0 ~ 4,294,967,295 | |
__int8 | 1 byte | -128 ~ 127 | |
__int16 | 2 byte | -32,768 ~ 32,767 | |
__int32 | 4 byte | -2,147,483,648 ~ 2,147,483,647 | |
__int64 | 8 byte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
실수형 | float | 4 byte | 3.4E-38(-3.4*10^38) ~ 3.4E+38(3.4*10^38) (7digits) |
(long) double | 8 byte | 1.79E-308(-1.79*10^308) ~ 1.79E+308(1.79*10^308) (15digits) |
위의 표를 참고하여 C++ 에서 변수선언을 해보자.
1. 변수 a를 선언해 정수 10을 담아보자.
2. 변수 b를 선언해 문자 "Hello"를 담아보자.
3. 변수 f를 선언해 소숫점 아무 숫자나 담아보자.
int a = 10;
char b = "Hello";
float f = 1.4f;
위와 같이 작성하면 1,2,3번 변수 선언과 데이터를 담는 것 까지 완료된다.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vector (0) | 2022.07.27 |
---|---|
STL (0) | 2022.07.27 |
[C++] 연산자 우선순위에 대한 정리 (0) | 2022.06.29 |
2022-06-21 / C++ 입문 야구게임 / exe (0) | 2022.06.28 |
2022-06-20 / c++ 입문 / 구구단 세로 / exe (0) | 2022.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