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프로젝트 생성 후 물리학 적용에 대해 공부
원하는 액터를 선택한 후 디테일 창에서 Physics(물리학) 탭에 있는 Simulate Physics를 체크하면 물리학 적용이 된다.
Mass는 무게를 지정해줄 수 있으며, 무게가 높을수록 그에 맞게 튕기거나 움직인다.
Enable Gravity는 말 그대로 중력을 적용할 것인지를 체크하는 것인데, 의자의 중력적용을 해제한 상태이다.
아래는 큐브, 의자, 램프, 테이블에 물리적용을 한 후 실행한 결과이다.
다음은 레벨 블루프린트에 기능을 추가한 내용이다.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점프하는 것 처럼 작동되게 노드를 추가했다.
Add Impulse 함수는 순간적으로 어떤 힘이 작용하는 기능을 하는 함수라고 한다.
이를 통해 z축을 조절해주면 점프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뷰포트를 확인해 기즈모와 축을 비교해보면 어떤 값을 조절하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알 수 있다.
이때 아래에 있는 Vel Change를 체크하게되면 물체의 질량에 관계 없이 무조건 속도가 400이 되게 할 수 있다. (초속 4m)
아래는 위에 작성된 레벨 블루프린트를 적용한 후 화면이다.
'프로그래밍 > UE4, 5'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5] 발사체 생성하기 (0) | 2023.05.09 |
---|---|
[UE5] 클래스 생성하기 (2) | 2023.05.09 |
[UE5] C++ 사용하기 (0) | 2023.04.25 |
UE4 3일차 (0) | 2023.04.14 |
[UE4] 블루프린트로 캐릭터 이동, 카메라 회전, 애니메이션 구현하기 복습 (0) | 2023.04.13 |
댓글